혈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이유 6가지
- 건강
- 2022. 4. 9. 23:52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릴 정도로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주는 고혈압은 우리나라 국민 6명 중 한 명이 겪고 있을 정도로 흔한 성인병에 해당합니다.
혈압이 높다고 당장 몸으로 느껴질 정도의 불편한 증상이 유발되지는 않지만 고혈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라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상 혈압 수치는 최고와 최저가 120/80mmHg 수준을 말하며 140/90mmHg일 경우 고혈압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혈압은 신체체형, 식습관, 운동, 흡연, 가족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해도 단 몇 분만에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혈압이 높아지는 원인은 다양하며 보통 아래의 6가지 범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는 것은 아래의 위험 요인을 피하거나 관리하면 되지만 고혈압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갑자기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
1. 백의 고혈압
평상시에는 정상 혈압 수치를 유지하지만 병원에만 가면 혈압이 상승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는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 앞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백의 고혈압이라 부릅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의 15~30%에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따라서 병원에 검진 또는 검사를 하러 방문했을 때는 검진 시작 때 한번 혈압을 측정하고 끝에 다시 한번 혈압을 측정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에도 백의 고혈압이 지속될 경우 집에서 편안한 상태에 있을 때 혈압을 측정하고 해당 기록을 의사에게 보여주면서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2. 약물 복용
아래의 약들은 일시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
- 항우울제
- 호르몬 피임약
3. 카페인 과다 섭취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지만 메이요 클리닉에 따르면 카페인이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합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카페인이 호르몬을 억제하고 동맥을 넓히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4. 다리를 꼬는 습관
앉을 때 다리를 꼬는 자세는 일시적으로 혈압을 치솟게 할 수 있습니다. 직장 또는 학교에서 다리를 꼬는 습관을 가진 경우 이를 교정하는 것이 좋으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하거나 서는 자세를 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소변이 방광에 꽉 찬 경우
중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소변을 보고 3시간 넘게 화장실을 가지 않을 경우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증가하면서 혈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6. 계절 영향
우리 몸은 갑자기 체온이 내려갈 경우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겨울철에 고혈압 부작용으로 심장병이나 뇌졸중 환자가 많아지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혈압이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혈압이 180/120mmHg 이상 되는 경우를 급성 고혈압 위기라고 합니다. 혈압이 160/100mmHg 까지는 별다른 자각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될 경우 가슴통증, 두통, 구토, 호흡이 빨라짐, 시야가 흐려짐, 불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 경련 또는 정신이 혼미해지면서 기절까지 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혈압 합병증 위험
혈압이 높아지면 뇌, 심장, 신장, 눈 등 신체의 모든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안과질환, 뇌혈관질환, 만성신부전 등과 같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혈압과 관련된 유익한 글
2022.02.21 - [건강] - 5분 안에 혈압 낮추는 법 - 약 없이 응급처치 방법
5분안에 혈압 낮추는 법 - 약없이 응급처치 방법
평소 혈압이 정상 수치보다 높거나 일시적으로 혈압이 크게 상승한다면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이 갑자기 상승하거나 높은 혈압 상태로 유지하게
wikwoo.tistory.com
2021.09.16 - [건강] - 고혈압 약 복용 혈압 수치
고혈압 약 복용 혈압 수치
고혈압으로 진단받는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 기준 4명 중에 1명이 고혈압으로 국민병에 해당합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2명 중에 1명이 고혈압으로 진단받기 때문에 나이
wikwoo.tistory.com
혈압약 끊는 방법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분들은 천만 명이 넘을 정도로 고혈압은 우리에게 상당히 익숙한 질환입니다. 고혈압으로 진단 받기 까지 신체에 이상 증상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위험하
wikwoo.tistory.com